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기준 중위소득 알아보기

by 슬기로운 한국살이 2023. 5. 3.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기초생활보장의 급여의 기준을 정하는 중요 지표로서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의미합니다

 

2023 중위소득

 

나라에서 지원하는 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을 가려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e-나라지표에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복지혜택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중위 소득을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청년월세 특별지원 제도는 청년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여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신의 소득수준을 계산하고 파악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아시겠죠?

2023년의 가구수별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고, 나의 중위소득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2023 기준 중위소득 100% 50% 40%

2023년 발표된 기준 중위소득은 위와 같습니다

e-나라지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기준 중위소득 수준은 발표된 100% 중위소득 데이터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활용이 가능합니다

 

 

이해를 돕자면

4인가구의 총 소득이 540만원 정도라면 중위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연도별 추이(2015-2023년)

본 데이터는 4인가구를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특히, 2020년부터는 중위소득이 이전보다 크게 높아진 것을 보니 중산층 국민들 입장에서 생활이 힘들다고 느꼈을 만한 근거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계산방법

나라에서 시행하는 복지 지원제도에서는 보통 '중위소득 60% 이하' 와 같은 소득수준 기준을 제시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 데이터를 알고 기준 %(퍼센테이지)를 대입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시행하는 교육급여제도가 3인가구 중위소득 60% 이하여야 신청 가능하다고 한다면

(2023년) 3인가구의 100% 중위소득 X □% 식에 대입해보면 됩니다

 

4,434,816 X 60% = 2,660,890

3인 가족이 교육급여를 지원 받으려면 소득이 2,660,890원 이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나의 중위소득 확인하기 (국민건강보험공단 보험료 조회)

간단하게 온라인으로 나의 중위소득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1.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문의 1577-1000

2. 국민건강보험 누리집 사이트 접속 → 민원요기요 → 개인민원 → 보험료 조회

 

 

 

복지혜택 신청하기

우리나라의 각종 복지혜택은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하여 받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교육급여, 생계급여, 의료급여 차상위계층의 생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제도,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월세지원제도 청년들의 생활 복지 유지를 위한 제도 등 다양한 복지제도들이 있고 모두 기준 중위소득 수준을 파악해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가려내고 있습니다

다양한 복지제도에 대한 정보는 온라인(https://www.bokjiro.go.kr)으로 확인.신청할 수 있고, 오프라인으로는 시군구청 또는 거주지 기준 주민센터를 방문해 상담후 신청까지 할 수 있습니다

 

모든 복지 제도의 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내가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는지 확인하고 받을 수 있다면 꼭 챙겨 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