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란?
2023년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는 2021년 청년희망적금에 이어 정부와 금융기관이 손잡고 지원하는 청년 목돈만들기 프로젝트입니다
5년간 매달 70만원씩 적금하면 지원금과 은행이자를 더해 5000만원 정도의 목돈을 챙겨가게 되는 상품입니다
청년희망적금과 달라지는 혜택이 있는데요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가입대상, 만기시 수령예상 금액,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차이점 비교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대상
청년도약계좌로 납입금+정부기여금+이자세금면제 모두 가져가세요
정부기여금은 개인소득과 납부 금액에 따라 달라요!
금리는 어떻게 되나요?
금융기관에서 이자에는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하면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대상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은 2022년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한 만 19-34세의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의 청년입니다
* 개인소득 6,000-7,500만 원,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 가입은 가능. 정부 기여금 지급없이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부여
병역이행기간(최대6년)은 연령 계산 시 제외됩니다
예를 들어, 군복무를 4년간 했다면 만 38세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소득수준 기준은 2022 기준 중위소득 180%이하인 청년이 가입 가능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4인가구 기준 9,217,944입니다
아래 표는 2022년 가구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00%의 데이터입니다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80% 에 해당하는 소득수준은 5,121,080 X 180% = 9,217,944원 으로 구하시면 됩니다
가구수 | 2022년 |
1인 가구 | 1,944,812 |
2인 가구 | 3,260,085 |
3인 가구 | 4,194,701 |
4인 가구 | 5,121,080 |
5인 가구 | 6,024,515 |
6인 가구 | 6,907,004 |
다른 가구수에 따른 중위소득 계산은 직접 계산해보시면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에 대한 개념과 계산법은 아래 컨텐츠의 계산법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기준 중위소득 알아보기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기초생활보장의 급여의 기준을 정하는 중요 지표로서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의미합니다 나라에서 지원하는 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을 가려내는 중요한
sweetlifeinko.tistory.com
청년도약계좌로 납입금+정부기여금+이자세금면제 모두 가져가세요
하나. 정부기여금은 개인소득과 납부 금액에 따라 달라요!
월 납입금과 비례하게 기여금이 지급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신청자가 해당하는 소득구간에 '월 기여금 지급한도' 금액만 납입하면 최대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리해서 월 납입 최대금액 70만원을 납입하지는 않아도 됩니다
금액선택은 자유이기 때문에 초기 금액 세팅시 내 개인소득에 매칭된 기여금 비율을 확인하고 운영계획을 잡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소득에 따른 기여금 지급한도와 매칭비율을 확인하세요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
기여금 지급한도(월) | 기여금 매칭비율 | 기여금 한도(월) |
2,400만원 이하 | ~40만원 | 6.0% | 2.4만원 |
3,600만원 이하 | ~50만원 | 4.6% | 2.3만원 |
4,800만원 이하 | ~60만원 | 3.7% | 2.2만원 |
6,000만원 이하 | ~70만원 | 3.0% | 2.1만원 |
7,500만원 이하 | ~70만원 | 해당사항 없음 |
두울. 금리는 어떻게 되나요?
금융기관 금리는 가입 후 3년(이상)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2년간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계좌 금융기관별 금리수준은 출시후 금융협회 홈페이지에 공시할 예정입니다
저소득층 청년은(2,400만원 이하) 우대금리가 부여됩니다
세엣. 금융기관에서 이자에는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
정부기여금과 더불어 계좌를 개설하는 금융기관에서 만기시 주는 이자에 비과세 혜택까지 적용됩니다
카카오페이에서 계좌를 개설하시면 발생하는 이자에 15.4%의 이자소득세를 면제 한다는 파격적인 제안을 하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오픈을 앞두고 있는 여러 금융기관 리스트는 6월 출시에 공개될 예정입니다토스를 제외하고,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하는 여러 금융사에서 다양한 이자소득세 면제율을 제안한다니 비교해보고 가입하는 재미도 있을거라 예상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하기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은 취급 금융기관에서 진행하며, 6월을 시작으로 12월까지 진행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신청 → 소득심사 → 유지심사(매년마다) 순으로 진행됩니다
2023년 6월부터 가입 조건에 부합한 청년들에 한하여 명시된 은행이나 금융기관을 통해 비대면 심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12월까지 매월 가입 신청을 받고, 신청후 2-3주의 심사기간을 거칩니다
유지심사는 1년을 주기로 거치게 되는데 이때 중도해지, 소득수준의 변화등이 감지되면 변경된 소득 시점의 혜택으로 전환됩니다
또, 유지심사 결과 개인 총소득이 6,000만원을 초과할 시, 다음 유지심사기간 까지는 정부기여금 지급이 중단되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가입신청처(취급기관)]
국민/신한/하나/우리/기업/농협/광주/전북/경남/대구/부산은행
총 11곳의 은행에서 진행되고, 방문신청이 가능하고, APP을 이용해 온라인 신청 또한 받을 예정입니다
[신청기간]
6월 15일부터 23일까지 1차 신청을 받습니다
그다음 시기는 7월 첫째주~2023년 12월까지 가입신청을 받을 예정이고, 매월 2주 동안 가입신청을 받고, 2~3주 내에 심사 완료, 결과가 통보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하면
청년도약계좌 5년 만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 하는 경우 본인이 납입한 금액만 지급되고,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은 지원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특별 중도 해지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본인 납입금 외에도 정부기여금, 비과세혜택을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특별 중도 해지요건]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가입자의 퇴직
사업장의 폐업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
천재지변
정부는 청년도약계좌의 해지를 막기 위해 예금을 담보로 한 대출방법 또한 모색하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해지란 정책 목표의 실패로 이어지기 때문에 정부는 해지를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갑자기 목돈이 필요해 청년도약계좌를 중도해지를 고려한다면 적금을 담보로 한 대출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내용 ▼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입대상인 청년들은 목돈 만드시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사기 예방하는 깡통전세감별기 사용방법 안내해드립니다 (0) | 2023.05.25 |
---|---|
복지로 맞춤형급여안내 1회신청으로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서비스' 알림받기 (0) | 2023.05.24 |
청년희망적금 2023 VS 청년도약계좌 차이점 뭐가 더 좋을까? (0) | 2023.05.22 |
청년도약계 청년희망적금 비교. 중복가입 가능할까? (0) | 2023.05.22 |
챗GPT도 챗올(chatALL)에서 검색해보세요 (0) | 2023.05.21 |
댓글